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5년 전 서울 광진구와 송파구에서 일어난 다단계 사건이 주목받고 있습니다.<br> <br>피해금액은 2천억 원, 피해자가 1천 명에 이르고 피해자들이 극단적 선택을 하기도 한 사건인데요. <br> <br>피해자들은 경찰의 늑장수사 때문에 피해가 커졌다고 분노합니다. <br> <br>먼저 최승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백화점 상품권을 이용한 다단계 조직이 경찰에 붙잡힌 건 지난 2017년. <br> <br>상품권을 정가보다 싸게 발행해 최대 40%의 수익을 낼 수 있다며 투자자를 모집했습니다. <br> <br>[민모 씨 / 피해자] <br>"자기들 회사에서 ○○백화점하고 특혜성 계약을 해서 특별히 발행 자격을 얻어서…" <br> <br>하지만 모두 거짓이었습니다. <br> <br>이들은 피해자가 다른 투자자를 데려오면 소개비를 일부 지급하기도 했지만 대부분 투자금은 행방이 묘연합니다. <br> <br>경찰이 파악한 피해자만 약 1000명. <br> <br>피해액은 2000억 원에 이릅니다. <br> <br>피해자 중 3명은 극단적 선택까지 한 걸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[민모 씨 / 피해자] <br>"집도 담보로 맡기고 은행권 대출까지 받아서 시작한 분들이고… 금전적 부담 때문에 결국 극단적 선택을 한 거죠." <br><br>피해자들은 경찰의 늑장수사로 피해가 커졌다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경찰이 처음 내사에 나선 건 지난 2016년 12월이었지만, 이 회사에 대한 압수수색은 8개월 뒤에나 이뤄졌습니다. <br> <br>사건을 검찰에 넘긴 건 다시 두 달이 지난 2017년 10월이었습니다. <br><br>담당 경찰관도 수사가 늦어진 걸 인정한 상황. <br><br>[담당 수사관] <br>"버스(업체)를 그때 수사하다가 팀도 해체가 되고 이런 상태가 되다 보니까 이거는 좀 늦게 진행됐죠."<br> <br>주범은 이미 2년간 징역을 살고 출소했고, 피해자들에게 돈을 돌려주지 않고 있습니다. <br><br>[윤모 씨 / 피해자] <br>"많은 인원이 피해를 입었는데도 불구하고 (징역) 2년이라는 것 밖에…. '우리 대한민국은 사기공화국이야?'라는 생각이 드는 거예요." <br> <br>채널A 뉴스 최승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이락균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최승연 기자 suung@donga.com